2024. 7. 16. 03:17ㆍFiber Shop
메인 메뉴 설명
① menus
② sidebar
③ viewport
Sidebar 사이드바
ⓐ : 새로운 헤어 블럭 추가하기 (Import Block)
ⓑ : 레이어창
ⓒ : 프로젝트 관련 설정창(Project setting), 프로그램 관련 설정창 (Preferences) - preference 초기화는 메뉴의 Edit에서
ⓓ : 헤어블럭 디자인 (Design), 맵 베이킹&채색 (Bake & Colors), 맵 추출 (Export)
ⓓ의 Add Modifier를 누르면 머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걸 바꿀 수 있음
Viewport 뷰포트
ⓐ : 맵 변경
ⓑ : 2D 뷰포트 / 3D 뷰포트 변경 (카메라 아이콘을 눌러서 변경할 수 있음)
ⓐ 맵 변경은 2D/3D 뷰포트 모두 가능
ⓑ 2D/3D 뷰포트 전환
3D 뷰포트로 전환해서도 리얼타임 (real-time)으로 수정이 가능함
3D 뷰포트의 경우 환경 설정 변경은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① 왼쪽 사이드바에서 project setting을 누른다
② Evironment를 찾는다
③ sky preset을 누른다
④ 기본 제공 되는 프리셋에서 원하는 프리셋을 누른다. (대체로 섭페랑 비슷)
⑤ 3D 뷰포트에 적용된다.
2D 뷰포트 조작법
- 휠 클릭 & 드래그 : 블럭 이동
- 휠 or alt + 우클릭 : 블럭 확대/축소
3D 뷰포트 조작법
- 휠 클릭 & 드래그 : 블럭 이동
- 휠 or alt + 우클릭 : 블럭 확대/축소
- shift + 좌클릭 : 환경 회전 (환경만)
- alt + 좌클릭 : 전체 회전 (환경 + 블럭)
3D 뷰포트의 경우 ⓐ를 통해 환경이 회전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를 통해 현재 보는 방향이 front/top/left/right/bottom 확인할 수 있다.
캔버스 Canvase a.k.a Document
블럭 주변에 위치한 정사각모양이 캔버스 (또는 도큐먼트) 이다.
기본 설정값의 경우 헤어 블럭을 이동 시키면
이동 시키는 대로 도큐먼트의 크기도 같이 늘어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베이크를 하게 되면 늘어난 사이즈로 베이크가 된다.
근데 여기서 project setting - Lock document size에 체크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큐먼트의 사이즈가 고정이 된다.
이 경우 헤어블럭을 이동시키면
도큐먼트가 함께 늘어나는 게 아니라 헤어블럭이 도큐먼트의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도큐먼트 바깥의 헤어블럭의 경우 베이크를 하면 베이크가 되지 않는다.
Project Setting - Document
ⓐ Document aspect ratio : 도큐먼트 비율 설정 (1:1 / 2:1 / 4:1 / 8:1)
ⓑ Document orientation : 도큐먼트 정렬 (auto / horizontal / vertical)
ⓒ Lock document size : 위에서 설명한 도큐먼트 자동 늘어남 설정 / 해제
ⓓ
Document color : 도큐먼트 자체 색상 변경
Background color : 그리드 있는 뒷배경 색상 변경
Background image : 뒷배경 이미지 첨부 (참고 이미지 하단 참고)
ⓔ Overlay : 블록 반투명 / 불투명 (참고 이미지 하단 참고)
ⓕ Background image opacity : 뒷배경 이미지 투명도
ⓖ Blocks offset : 헤어 블럭 테두리 여백값
ⓐ Document aspect ratio
위에서부터 1:1 / 2:1 / 4:1 / 8:1
뭐 때문에 필요한지는 사실 아직까진 모르겠음..
.근데 이거 만료가 11월까지라 그 전에 쓸모를 알게 될 지.. 그것도 모르겠음...
ⓓ Background image
백그라운드 색상은 그리드 배경에 깔리는 거던데,
이미지는 왜 도큐먼트 안에만 뜨는 건지 모르겠넹...
도큐먼트 비율 내에서만 뜨는 거 보면 마스크 기능처럼 해서 도큐먼트 사이즈 안에만 보이는 것 같기도 함.
ⓔ Overlay
왼쪽은 오버레이 끈 거 (체크 해제), 오른쪽은 오버레이 켠 거 (체크)
오버레이 기능을 켜면 뒤에 넣은 이미지가 비쳐보인다.
Preferences
General 탭 - UI scale : 말 그대로 UI 배율 조절.
실수로 너무 크게 조절했거나 할 경우에는 상단의 메뉴에서 Edit - Reset preferences 하면 됨.
Autosave 탭
Autosave interval (minutes) : 기본은 5분 단위, 1분 ~ 최대 10분 (아마도) 로 수정할 수 있다.
Number of autosave files : 기본은 100개, 원하는대로 최대 저장 가능한 오토세이브 파일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오토세이브된 파일은 아래 Open Autosave에서 열어 볼 수 있음.
오른쪽 사진 왼쪽 아래 부분에 동그라미가 돌아간다면, 그건 저장할 때 나타나는 시계임!
3D Environmet Setting
ⓐ Sky preset : 배경화면 이미지 변경 (섭페랑 비슷)
ⓑ Reflection tint color : 반사 틴트 컬러 (하단 이미지 참고)
ⓒ Rotation : 배경 회전
ⓓ Exposure : 배경 노출값 조절
ⓔ Backdrop blur mode / Backdrop blur : 배경 블러 크기, 블러 정도
ⓕ Backdrop tint color : 뒷부분 틴트 컬러... (하단 이미지 참고)
Reflection tint color
왼쪽은 Reflection tint color 기본 설정값인 white로 되어있을 경우
오른쪽은 붉은 색으로 변경했을 경우
배경 자체에서 반사광,,,? 색상이 변경되는 것 같음
Reflection tint color 와 Backdrop tint color 의 차이
Reflection tint color는 기본 설정이 opacity 100의 white 컬러이고,
Backdrop tint color는 기본 설정이 opactity 0인 투명 컬러이다.
Reflection tint color는 색상을 넣어도 전체적으로 넣어지는 게 아니라 왼쪽 사진 처럼
배경 화면에서 반사광,,, ? 에 해당하는 건가 하여간 일부만 색상이 변경되는 식으로 나오는데,
Backdrop tint color는 색상을 넣으면 배경 전체가 색상이 바뀌어버리는데... 이게 무슨 차이인지는 더 찾아봐야할 것 같음.
Exposure
배경 노출값.
왼쪽은 노출값이 낮을 때 (기본) , 오른쪽은 노출값이 높을 때
Backdrop blur mode / Backdrop blur
왼쪽부터 Backdrop blur mode가
small / medium / high
블러 입자 차이 인 것 같은데, 솔직히 잘 모르겠더라.
Backdrop blur 값을 조절하면 대충 눈으로 봤을 때 기준에
0에 가까우면 small 같고 100에 가까우면 high 같아서 다르게 체크해봄
Backdrop blur 값을 다 0으로 통일한 상태로
왼쪽부터 Backdrop blur mode가 small / medium / high
같은 0이여도 블러 효과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0이면 anti-aliasing이 적용되지 않은 픽셀 단위로 보이는 걸 알 수 있는데,
small은 블러 자체의 픽셀이 작고, high는 블러 자체의 픽셀이 큰 걸 확인할 수 있음. (끄덕)
Project Settings - Reference Image
ⓐ Background Image : 레퍼런스 이미지를 그리드 배경 부분에 올려놓는다.
ⓑ Black and White : 레퍼런스 이미지를 흑백으로 보여준다 (체크 : 흑백 / 체크해제 : 컬러)
ⓒ Overlay : 헤어블럭을 오버레이 해서 보이게 해준다 (체크 : 오버레이 / 체크해제 : 불투명 (오버레이 꺼짐))
ⓓ Blend mode : 레퍼런스 이미지의 블렌드 모드. 포토샵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함
ⓔ Lock transform : 레퍼런스 이미지에 대한 transform 작업을 잠근다. (transform 단축키는 아래 있음)
레퍼런스 이미지 단축키
이동 :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회전 : Shift +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확대/축소 : Ctrl +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투명도 조절 : O +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Background Image
레퍼런스 이미지를 불러오면 이렇게 뜬다.
Black and white
왼쪽이 기본 (체크해제) , 오른쪽이 블랙앤화이트 (체크)
Overlay
왼쪽이 기본 (체크해제), 오른쪽이 오버레이 (체크)
Blend mode
포토샵에 있는 blend mode와 동일함.
오른쪽은 screen mode로 설정했을 때.
헤어블럭은 영향을 받지 않고, 레퍼런스 이미지에만 적용된다.
Reference Image 와 Background Image의 차이
Reference Image는 독립적인 개체로, 컨셉아트나 참고용 이미지를 puref에 띄우듯이 사용할 수 있지만
Background Image는 도큐먼트에 종속되는 개체로, 도큐먼트 내부에 표현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Hair Block Interacting 헤어블럭 상호작용
일반 좌클릭 드래그는 일반적인 이동이지만,
Ctrl + 좌클릭 드래그는 블럭간 snap 기능이 활성화된다.
초록색으로 뜨는 부분이 다른 헤어블럭들의 꼭짓점.
Block setting
ⓐ Lock UV : UV 사이즈 잠금
ⓑ Flip Horizontal / Flip Verical : 좌우 반전 / 상하 반전
ⓒ Overright color : 색 덧씌우기..? overright가 대체 몰가
ⓓ Overright textures : 텍스처 덧씌우기...일까...
ⓐ Lock UV
Lock UV 체크 안 했을 때.
헤어 블럭의 scatter 값이 변경되면 블럭의 폭, 길이가 늘었다 줄었다 한다.
Lock UV 체크 했을 때
헤어 블럭의 scatter 값이 변경이 되어도 블럭 사이즈가 고정되어있음.
레이어 설정에서 Rotation 값은 Lock UV를 체크하면 같이 잠겨버리기 때문에,
UV를 회전할 일이 있다면 잠그기 전에 회전해주는 것을 추천
ⓒ Overright color
체크하면 왼쪽 사진과 같은 그라데이션 설정 창이 뜨는데 여기서 조정하는데로
헤어 블럭 색상이 바뀜.... 덧씌우는 건가... 모르겠다
ⓓ Overright textures
체크하면 이렇게 Albedo나 Alpha, Normal 맵을 넣을 수 있는 창이 나오는데
이걸 넣으면 맵이 변경되는 것 같음.
레이어에서 우클릭하면 Duplicate (복제) / Export (추출) / Delete (삭제) 가 나옴
레이어명을 더블클릭하면 레이어명을 수정할 수 있음.
참고로 3D viewport는 선택한 헤어블럭만 보임.
3D viewport 모드에서 레이어를 선택해서 다른 헤어블럭을 바로바로 바꿔서 볼 수도 있음.
레이어 우클릭으로 export 해서 헤어블럭을 추출하면 *.blk 파일로 추출이 되는데,
불러올 때는 레이어 창 위의 import를 누르고, *.jpg를 불러와야한다.
(*.blk 를 불러오는 게 아님)
Layers
Layer의 경우 포토샵과 반대로, 레이어 목록 중에서 하단에 위치한 레이어일수록
실제로는 위쪽에 위치한다.
사진에 보이듯이 레이어 목록상으론 block1이 block2보다 상단에 있지만,
도큐먼트에서는 block2가 block1이 더 상단에 있음을 알 수 있다.
Modifier
modifier의 경우 (레이어도 동일하지만)
왼쪽의 ||| 를 클릭하고 드래그하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Modifier 우클릭하면 나타나는 건 총 여섯가지.
- Duplicate : 복제
- Copy Modifier : 모디파이어 복사
- Copy Values : 모디파이어의 값 복사
- Paste Modifier : 모디파이어 붙여넣기
- Paste Values : 모디파이어의 값 붙여넣기
- Delete : 삭제
모디파이어 자체를 복사하는 것과, 모디파이어의 값을 복사하는 것의 차이는 잘 모르겠다.
모디파이어를 복사해서 복제 모디파이어를 만드는 거나...
모디파이어의 값을 복사해서... 모디파이어를 만들고... 거기에 값을 붙여넣는 것.... 뭔 차인데....?
'Fiber Sh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ke Properties (0) | 2024.08.22 |
---|---|
Hair-Card Material (bake-tab) (0) | 2024.08.22 |
Review on shading channels (채널별 이미지) (0) | 2024.08.02 |
Fiber Material (design tab) (0) | 2024.08.01 |
파이버샵 (Fiber shop) 모디파이어 (modifier) 기초 (0) | 2024.07.20 |